재테크/미국 주식

[경제 상황]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리뷰요정_초이성 2022. 3. 7. 22:38

 

최근 주식 시장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지켜보고 있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냉전 체제 붕괴 이후 30년 이상 유지해온 국제 질서를 뒤흔드는 사건이며, 개인적으로 최악의 상황을 비추어 볼 때, 제 3차세계대전에 준하는 비극의 신호탄이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세계적으로 규탄받고 제재받는 가운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침공 배경부터 알아보고자 합니다.

[침공 배경]

1922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은 소비에트연방 공화국(소련) 통치하에 들어가게 됩니다.

소련은 사회주의를 앞세워 1932년 소련 전체에 곡식을 균등하게 배분하는 '집단농장' 정책을 실행하였고, 비옥한 평야를 가지고 있는 (세계 8위 곡식 생산국) 우크라이나는 그만한 곡식을 상납하게 됩니다.

 

이에 분노한 우크라이나 국민들은 생산된 식량과 가축을 모조리 먹어 치워 생산량 감소와 할당량 증가로 인한 대기근이 발생하였고, 국민의 약 20% (수백만명) 아사하는 비극을 낳기도 하였습니다.

 

1991년 소련이 해체되며 냉전 체제는 붕괴되었고, 우크라이나는 독립 국가로 해방하게 됩니다. 

허나, 폴란드와 소련에 통치를 받던 70년간 우크라이나는 독립 이후에도 소련에 대항하는 반러 세력과 러시아에 우호적인 친러 세력으로 대립하게 됩니다.

 

같은 핏줄인 '동슬라브족'이라는 명목하에 우크라이나를 합병할 목적으로 호시탐탐 노리고 있던 러시아는 2014년 흑해와 인접해있는 우크라이나 영토 '크림반도'를 투표를 통해 크림반도의 독립을 요구했고, 친러 세력이 뚜렷했던 크림반도는 96.6% 라는 경이로운 찬성 투표율과 함께 자치공화국으로 분리하게 됩니다.

(당시 러시아인 58%, 우크라이나인 24%)

 

기다렸다는 듯이 러시아는 자치공화국이 된 크림반도는 러시아 영토로 편입시켰으나, 전세계는 이를 인정해 주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2019년 우크라이나는 NATO 가입을 선언하였으나, 우크라이나를 합병하기 어려워진다는 것을 아는 러시아는 강력히 반대하였고 이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까지 이르게 되었습니다. 

(NATO (북대서양 조약 기구) : 북미 및 유럽 등 서방 국가의 군사동맹)

 

[정리]

1922: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국 → 소련 통치

1932: 소련의 집단농장정책 실행

1991: 소련 해체  우크라이나 해방

1991~2014: 친러(폴란드) / 반러(소련) 세력 대립

2014: 크림반도 자치공화국 인정 및 러시아 편입

2019: 우크라이나 NATO 가입 선언

2022: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침공 사유]

침공 사유는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01) 우크라이나는 전세계 곡물 생산량 8

우크라이나는 전세계 곡물 생산량 8위를 차지하고 있을만큼 비옥한 평야를 가지고 있습니다.

출처 : www.atlasbig.com

02) 군사적 요충지 확보

우크라이나는 서방국가와 러시아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는 반대로 우크라이나가 NATO 가입을 하게 되는 경우 서방국가가 러시아 접경지대에 군사 배치가 가능하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러시아는 돈바스 지역을 점령하여 최소의 NATO 완충 지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03) 천연 자원 공급망

러시아의 천연가스 (LNG)는 많은 나라를 거쳐 독일 등 서유럽에게 전달되는데 그 중 가장 큰 통로가 우크라이나로 

우크라이나가 경제적 보복을 진행할 경우, 천연가스 공급망을 막을 수 있다는 문제가 생깁니다.

 

추출처 : ENTSOG

 

러시아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발트해 경로로 지하통로 '노로드 스트림'을 공사하였고, 곧 개통 시기가 다가왔다고 합니다.

 

 

04) 러시아 교역 통로

러시아는 큰 땅덩어리에 비해 북극해를 제외한 바다와 인접해 있는 부분이 거의 없어 항로를 통한 국제 무역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우크라이나 점령을 통한 서방국가와의 교육 요충지를 확보하고 흑해를 통해 지중해 연안의 항로를 가지고 싶어하는 것이죠.

출처 : https://www.tradlinx.com/

 

[침공 시나리오]

직접 침공을 강행중인 현재(03.07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을 위한 침공 시나리오는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① 직접 침공 통한 군사 개입

② 전기와 통신망 공격하는 사이버 공격

친서방 정책을 진행하는 젤렌스키 대통령 축출(탄핵)

 

[전쟁 통한 국제 사회 영향]

전쟁이 발발하면서 국제 사회는 많은 악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안그래도 인플레이션 현상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오르고 있는 가운데 우선 곡물 생산량 4,8위 두 국가간의 전쟁으로 인해 곡물 공급이 부족하게 되고 이는 당연히 곡물가격의 상승을 가져오게 됩니다.

출처 : 국제연합식량기구

 

두번째는 국제유가 상승입니다.

천연가스 등 많은 자원을 보유한 러시아는 전쟁을 통해 유가 공급을 줄이게 되고 인플레이션으로 국제 유가가 치솟된 상황에서 기름을 붓는 격이 된 셈이죠. 

 

이는 최근 국제 유가로도 살펴볼 수 있는데, 올해 초 대비하여 약 40~50% 유가가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Tradingview.com

마지막으로 러시아 및 국제 주가 하락입니다.

불안정한 세계 정서 속에 러시아 주가는 물론 국제 주가 (대표 : S&P500)는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출처 : Investing.com

 

출처 : Investing.com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하루 빨리 종전되기를 기원하며, 이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