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미국 주식

[경제 용어] VAA(Vigilant Asset Allocation) 동적 자산 배분 전략

리뷰요정_초이성 2022. 2. 3. 22:10

지난 포스팅에서 설명드린 거와 같이,

기본적인 자산 배분 방식은 다른 상관 관계의 자산군을 가지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주기적인 리밸런싱을 통해

투자하는 '정적 자산 배분 전략'입니다.

■ 지난 포스팅 : https://wmn123.tistory.com/5

 

[경제 용어] 자산 배분

금리 인상, 국가간의 전쟁, 외교 문제 등으로 미국 증시가 연일 하락을 기록할 때, 투자 전문가들이 입모아 하는 말이 있습니다. 현금 비중과 안전 자산을 늘려야 한다. 주식 시장이 지속 상승만

wmn123.tistory.com

 

그러나 오늘 설명드릴 내용은 '동적 자산 배분 전략' 중 하나인 VAA 전략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VAA 전략은 네덜란드 바우터 켈러(Wouter J.Keller) 교수가 출간한 논문의 '동적 자산 배분 전략' 중 하나로

최근 50년간 수익률이 가장 높고, MDD 는 낮은 전략이라고 합니다.

■ 논문 : papers.ssrn.com/sol3/papers.cfm?abstract_id=3002624

 

새로운 포트폴리오 방식을 고민하던 중 유튜버 '할 수 있다! 알고 투자'님의 영상을 접하여 공부하게 되었고,

아래와 같은 전략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참고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eQeu8v_-Y98 

[동적 자산 배분 전략 정의]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은 시장 흐름에 맞춰 자산을 매수/매도하여 비중을 조정하는 포트폴리오 관리 전략 중 하나로

상대 모멘텀과 절대 모멘텀의 혼합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 상대 모멘텀 : 최근 상승세가 강한 자산을 매수하는 모멘텀 전략이며,

■ 절대 모멘텀 : 상승장에서 매수를 하고, 하락장에서는 매도하는 모멘텀 전략

 

위와 같이 듀얼 모멘텀을 적용하면 성과가 미진한 자산을 줄이고, 성과가 좋은 자산을 지속적으로 보유함으로써

상승 추세에 따라 지속 상승할 수 있어 수익률은 높이고 손해를 최소화하는 방식입니다.

 

[VAA 투자 현황]

VAA 전략은 'Allocate Smartly' 사이트에서 진행한 백테스트에서 50년간 수익률 1위를 차지하였고,

위 공유드린 '할 수 있다 ! 알고 투자' 유튜버 강환국님께서도 설명드린거와 같이 50년간 3500배 수익률을 달성했습니다.

출처 : allocatesmartly.com

1971년부터 50년간 지속 상승한 수익률을 아래 테이블로 살펴보면 연 18.4% 복리 수익률과 -16.1% MDD를 확인할 수 있는데, 평균 대비 낮은 MDD는 아니지만 높은 수익률을 통해 수익률-MDD 훌륭한 조화를 이룬 투자 방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출처 : allocatesmartly.com

[VAA 전략]

대표적인 VAA Aggressive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매수 전략

① 포트폴리오를 공격형 자산과 안전 자산으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② 공격형 자산 / 안전 자산의 Momentum Score (모멘텀 스코어)를 계산한다.

▶ Momentum Score : (최근 1개월 수익률 x 12) + (최근 3개월 수익률 x 4) 

                              + (최근 6개월 수익률 x2) + (최근 12개월 수익률 x1)

③ 공격형 자산의 모멘텀 스코어 중 음수(-)가 없을 경우 : 공격형 자산 모멘텀 점수가 가장 높은 자산 매수

④ 공격형 자산의 모멘텀 스코어 중 음수(-)가 있을 경우 : 안전 자산 모멘텀 점수가 가장 높은 자산 매수

 

◎ 매도 전략

 - 월별 리밸런싱 진행 

▶ 리밸런싱 날짜 구성은 개인적인 판단으로 진행하되,

    월초/월말의 수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하기 링크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 영상 : www.youtube.com/watch?v=J63iKD6Otdk

[VAA 구성]

 기본적으로 VAA Aggressive 전략은 ETF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격형 자산 및 안전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격형 자산

 - SPY (미국 주식) : S&P 500를 추종하는 미국 대표 ETF

 - EFA (선진국 주식) : 북미를 제외한 국가 중 선진국 기업을 대표하는 ETF 

 - EEM (개발도상국 주식) : 주로 아시아/아프리카 국가로 이루어진 ETF (홍콩/한국/중국/인도 등)

 - AGG (미국 혼합 채권) :  미국 국채/주택저당채권/산업/금융기관 등 미국 채권을 총라한 ETF

 

◎ 안전 자산

 - LQD (미국 회사채) : 미국 투자등급 회사채에 투자하는 ETF

 - IEF (미국 중기 국채) : 미국 중기(7-10년) 국채 ETF

 - SHY (미국 단기 국채) : 미국 단기(1-3년) 국채 ETF

[VAA 투자 시 고려사항]

모든 투자에는 정답이 없듯이 VAA 전략에서도 하기 3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① Overfitting에 따른 위험성 존재

 : 1개월동안 1가지 종목을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낮은 채권 수익률이나 급격한 변화에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② 잦은 자산 교체로 인한 거래수수료 부담

 : 1개월마다 전 자산을 리밸런싱하는 투자 방법으로 거래량이 클 경우, 거래 수수료 부담이 존재합니다.

③ 수익 창출에 따른 미국 양도소득세 부담

 : 250만원 이상의 수익 창출 시,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며 연말에 기대치보다 낮은 수익률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을 잘 참고하시어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할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는건 어떨까요?